김동률/음반 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김동률


김동률음반 목록
[ 펼치기 · 접기 ]

그룹 앨범
전람회카니발베란다 프로젝트
파일:external/img.maniadb.com/123646_f_2.jpg
파일:external/4.bp.blogspot.com/folder.jpg
파일:external/www.lpplus.co.kr/0080010001442.jpg
파일:카니발프로젝트앨범.jpg
파일:Verandah Project Day Off.jpg
정규 1집

EXHIBITION
1994.05.01
정규 2집

EXHIBITION 2
1996.04.01
정규 3집

졸업
1997.01.01
정규 1집

Carnival
1997.05.04
정규 1집

Day Off
2010.05.18
솔로 앨범
정규·EP 음반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1album.jpg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2album.jpg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3album.jpg
정규 1집

The Shadow of Forgetfulness
1998.12.01
정규 2집

希望
2000.08.16
정규 3집

歸鄕
2001.10.26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4album.jpg
파일:김동률모놀로그리마스터.jpg
파일:kimdongryule remastered.jpg
정규 4집

吐露
2004.03.09
정규 5집
리마스터

Monologue
2008.01.25
2021.09.28
EP
리마스터

KimdongrYULE
2011.11.15
2021.08.17
파일:김동률동행리마스터.jpg
파일:김동률답장.jpg
파일:김동률답장리패키지.jpg
정규 6집
리마스터

동행
2014.10.01
2021.07.07
EP

답장
2018.01.11
EP
리마스터

답장+
2019.09.05
2021.06.01
라이브·컴필레이션 음반
파일:external/img.maniadb.com/137327_1_f.jpg
파일:김동률감사.jpg
파일:external/cmsimg.mnet.com/178046.jpg
라이브

招待
2005.02.18
컴필레이션

Thanks
2007.03.15
라이브

2008 Concert, Monologue
2009.05.18
파일:KIMDONGRYUL LIVE 2012 감사 2014 동행.png
파일:김동률 LIVE 2019 오래된 노래.jpg
라이브

2012 감사, 2014 동행
2015.08.06
라이브

2019 오래된 노래
2020.09.30
||
디지털
파일:김동률 그럴 수밖에1.jpg
파일:김동률 노래.jpg
파일:김동률 동화.jpg
파일:여름의 끝자락1.jpg
싱글

그럴 수밖에
2018.03.27
싱글

노래
2018.09.11
싱글

동화
2018.12.07
싱글

여름의 끝자락
2019.08.20
파일:김동률 황금가면 앨범아트.jpg
파일:옛 얘기지만.jpg
싱글

황금가면
2023.05.11
싱글

옛 얘기지만
2023.11.29
||
보컬 참여 앨범
共存 (윤종신 4집) · Da Capo (토이 7집)



1. 정규 앨범
2. EP
2.1. KimdongrYULE[1]
3. 라이브 앨범
4. 컴필레이션 앨범
5. 디지털 싱글
5.1. 그럴 수밖에
5.2. 노래
5.3. 동화
5.4. 여름의 끝자락
5.5. 황금가면

KIMDONGRYUL DISCOGRAPHY


1. 정규 앨범[편집]



1.1. 1집 The Shadow of Forgetfulness[편집]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1album.jpg
1998년 9월 발매.

1집 The Shadow of Forgetfulness
트랙제목특징
1시작전람회카니발을 떠나 홀로 서는 설레임과 두려움을 노래한 곡.
카니발 동료였던 이적이 가사를 써줬다.
2배려
3내 오랜 친구들 (feat.서동욱,이적)옛 동료 서동욱과 이적과 함께 부른 노래.
4그림자
5Cosmos
6기적 (feat.이소은)
7걱정
8잠시
9고독한 항해
10동반자가곡의 느낌이 강하게 나타나는 곡.
실제로 김동률 본인이 이별한 이후의 감정을 노래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김동률 본인도 이 노래에 대한 애착이 강한 듯.



1.2. 2집 희망[편집]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2album.jpg
2000년 8월 발매.

2집 희망
트랙제목특징
12년만에
2프로포즈
3 (feat.양파)
4악몽
5크리스마스의 선물
6한여름밤의 꿈
7윤회
8염원피아노와 사물놀이라는 독특한 조합의 곡.중반부에는 뱃노래를 삽입해 상당히 몽환적인 느낌을 낸다.
9세련된 멜로디에 향토적인 가사가 인상적인 곡. 참고로 김동률은 콘서트에서
이제 여러분이나 저나 늙어가니까 전통가요로 승부를 봐야되지 않겠습니까라고 하며
이 곡을 완전 뽕짝삘나는 밤무대 노래로 편곡해 불렀다(...).
10모험
11편지
12희망




1.3. 3집 귀향[편집]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3album.jpg
2001년 10월 26일 발매.

3집 귀향
트랙제목특징
1사랑한다는 말
2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3하소연
4우리가 쏜 화살은 어디로 갔을까 (feat.이적)
5낙엽
6Requiem
7구애가
8자장가
9망각
10귀향
Hidden Track떠나보내다 (feat.서동욱)전 전람회 멤버였던 서동욱이 참여한 곡이다.

  • 자세한 내용은 歸鄕 항목 참조.



1.4. 4집 토로[편집]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4album.jpg
2004년 3월 10일 발매.

4집 토로
트랙제목특징
1다시 떠나보내다3집 히든 트랙이었던 '떠나 보내다'의 후속 곡 내용을 담고 있다.
2사랑하지 않으니까요 (feat.하림)하림 목소리가 나오는건 아니고 하림의 하모니카 연주가 나온다.
3이제서야
4욕심쟁이 (feat.이소은)과거 1998년 '기적' 이후 이소은과의 두 번째 듀엣 곡이다. 종전 '기적'과는 달리 매우 밝은 느낌인게 특징이다.
5River연주곡. 가만히 듣다보면 사카모토 류이치가 생각나기도 한다.
6잔향
7양보 (feat.Wanted)원티드 멤버 중 하나인 김재석이 피처링했다.
8신기루
9Deja-vu
10청원
11고별

  • 자세한 내용은 吐露 항목 참조.


1.5. 5집 Monologue[편집]


파일:attachment/kimdongryule_Monologue.jpg
2008년 1월 25일 발매.

5집 Monologue
트랙제목특징
1출발1박 2일에서 질리도록 틀어줘서(...) 덕분에 여행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곡이 되었고
그 영향인지 여행 관련 프로그램에서도 이 노래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이 곡의 뮤비는 김동률의 중국 여행 과정을 뮤비로 만들었다.
2그건 말야
3오래된 노래
4Jump (feat.정순용)
5아이처럼 (feat.알렉스)김동률을 대표하는 히트곡 중 하나. 정작 본인은 원래 타이틀곡보다
이 곡이 더 떠서 타이틀곡이 묻혔다며 아쉬워했다(...).
6The Concert
7Nobody
8뒷모습
9다시 시작해보자[타이틀]
10Melody

  • 자세한 내용은 Monologue 항목 참조.





1.6. 6집 동행[편집]


파일:attachment/_469.jpg
2014년 10월 1일 발매.

2015년 한정반으로 LP가 판매됐다. 2021년 7월 7일, 리마스터링 된 버전이 음원 사이트에 공개되었으며 remastered LP가 발매되었다.

6집 동행
트랙제목특징
1고백
2청춘 (Feat. 이상순)
3내 사람
4Advice (Feat. John Park)
5그게 나야
6퍼즐
7내 마음은
8오늘
9그 노래원래는 같은 소속사의 가수인 존박의 미니앨범 'knock'에 수록된 곡. 물론 김동률이 작사, 작곡해줬다.
노래가 미묘하게 다르다. 둘 다 들어보길 추천.
10동행





2. EP[편집]



2.1. KimdongrYULE[2][편집]


파일:kimdongryule.jpg
2011년 11월 15일 발매. 2021년 8월 17일 리마스터 버전 음원 및 LP 발매.

EP kimdongrYULE
트랙제목특징
1Prayer
2크리스마스잖아요
3크리스마스 선물2집의 수록된 동명의 곡의 리메이크판.
4겨울잠
5새로운 시작 (feat.박새별)곡 분위기가 1998년 '기적'과 흡사한 편.
6한 겨울밤의 꿈2집에 수록된 '한 여름밤의 꿈'을 겨울 분위기로 리메이크한 버전.
7Replay빅 발라드의 느낌을 최대한 채용했던 타이틀 곡.
당초 이 곡은 콘서트에서 부를 건 고려하지 않고 지었다고 전해지나,
2011년말 유희열의스케치북에서 처음으로 라이브로 부른 바 있다.
8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법 (feat.friends)피쳐링의 friends의 정체는 바로 유희열, 이상순, 윤상, 정재형, 하동균,
나윤권, 스윗소로우, 박정현, 정순용, 존박, 하림, 이적, 이영현, 김재석, 황성제

이름만 들어도 흠좀무한 대형 뮤지션들을 떼거지로 모아놓은 것.
원래는 98년에 이미 만들어둔 곡이지만 모종의 사정으로 앨범에 수록하지 못하다가
13년 만에 수록한 것이라고 한다.





2.2. 답장/답장+[편집]


파일:김동률답장.jpg
파일:김동률답장리패키지.jpg
2018년 1월 11일 발매.
이후 발매된 디지털 싱글까지 포함한 답장+는 2019년 9월 5일에 발매된다. 2021년 6월 1일 답장+의 리마스터 앨범 및 LP 발매.

EP 답장
트랙제목특징
1답장
2Moonlight
3사랑한다 말해도 (Feat. 이소라)
4연극반도네오니스트 고상지가 편곡한 곡으로 김동률의 라이브 앨범 <2008 Concert, Monologue> 5번 트랙 <배려>를 들어보면 유사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5Contact

EP 답장+
트랙제목특징
1답장
2Moonlight
3그럴 수밖에
4동화 (Feat. 아이유)
5여름의 끝자락 (Feat. 김정원)
6사랑한다 말해도 (Feat. 이소라)
7연극
8Contact
9노래



  • 자세한 내용은 답장 항목 참조.


3. 라이브 앨범[편집]



3.1. 招待[편집]


파일:external/img.maniadb.com/137327_1_f.jpg
2005년 2월 18일 발매.
  • 자세한 내용은 招待 항목 참조.


3.2. 2008 Concert, Monologue[편집]


파일:external/cmsimg.mnet.com/178046.jpg
2009년 5월 18일 발매.


3.3. 2012 감사, 2014 동행[편집]


파일:KIMDONGRYUL LIVE 2012 감사 2014 동행.png
파일:KIMDONGRYUL LIVE 20122014 tracklist.jpg
2015년 8월 6일 발매.


3.4. 2019 오래된 노래[편집]


파일:김동률 LIVE 2019 오래된 노래.jpg
파일:KIMDONGRYUL LIVE2019 Tracklist.jpg
2020년 9월 30일 발매.


4. 컴필레이션 앨범[편집]



4.1. Thanks[편집]


파일:김동률감사.jpg
2007년 3월 15일 발매.
  • 자세한 내용은 Thanks 항목 참조.


5. 디지털 싱글[편집]


그럴 수밖에, 노래, 동화, 여름의 끝자락은 답장+의 수록곡으로 들어간다.


5.1. 그럴 수밖에[편집]


파일:김동률 그럴 수밖에1.jpg
파일:김동률 그럴 수밖에2.jpg
2018년 3월 27일 발매.

트랙제목특징
1그럴 수밖에


5.2. 노래[편집]


파일:김동률 노래.jpg
파일:김동률 노래 2.jpg
2018년 9월 11일 발매.

트랙제목특징
1노래


5.3. 동화[편집]


파일:김동률 동화.jpg
파일:김동률 동화 2.jpg
2018년 12월 7일 발매.

트랙제목특징
1동화 (Feat. 아이유)




5.4. 여름의 끝자락[편집]


파일:여름의 끝자락1.jpg
파일:여름의 끝자락2.jpg
2019년 8월 20일 발매.

트랙제목특징
1여름의 끝자락 (Feat. 김정원)




5.5. 황금가면[편집]


파일:김동률 황금가면 앨범아트.jpg
파일:김동률 황금가면 크레딧.jpg

2023년 5월 11일에 발매된 곡이자 여름의 끝자락 이후 4년 만에 발매한 신곡이다.

멜론 매거진 김동률 인스타그램

트랙제목특징
1황금가면
[ 앨범 소개 ]
{{{-1 제목부터 낯설고 생경하다. ‘김동률의 황금가면’이라니.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나란히 놓여 있는 것만 같다. 제목만이 아니다. 음악 스타일도 다르다. 새롭고 파격적이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 안에 김동률이 있다.
팬데믹 시기의 긴 침묵을 깨고 약 4년 만에 발표하는 첫 싱글을 이렇듯 파격적인 스타일로 만든 이유가 궁금하다. 사실 그의 음악이 전부 발라드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동행 앨범에 수록됐던 디스코 스타일의 ‘퍼즐’이나 답장 앨범에 수록된 펑키한 그루브의 ‘그럴 수밖에’ 등 장르적 다양성이 엿보이는 곡들을 그는 꾸준히 발표해왔다. 하지만 기나긴 팬데믹의 시기를 버텨낸 후, 정말 오랜만에 발표하는 신곡이라면, 가장 자신 있는 장르인 발라드로 컴백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쉬웠을 텐데, 그는 호기롭게 정반대의 선택을 했다.
황금가면은 그의 데뷔 이후 가장 빠른 BPM의 곡이다. 그럼에도 올 어쿠스틱 밴드로 녹음되어 미디가 없던 시절의 빈티지한 사운드와 그루브를 정공법으로 재현해낸다. 반복적인 페달 톤의 피아노 코드 위로 마치 무대에서 배우들이 하나둘 등장하듯 악기들이 차례차례 들려온다. 복고풍의 어쿠스틱 드럼 사운드 위를 헤엄치듯 꾸물대는 생생한 베이스 라인. 때론 펑키하게 때론 부드럽게 그러다가도 락킹하게 변하는 기타 연주와 적시에 등장해 공감각을 확장시켜주는 브라스와 스트링. 거기에 더불어 화려한 코러스 라인이 정교하게 흩어졌다 모이며 김동률의 목소리와 어우러져 곡의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특히 후반부에 이르러 쏟아지는 김동률 전매특허의 화성과 선율은 곡의 완성도를 한층 드높인다. 오랜 시간 공들여 다듬어 완성한, 흡사 브로드웨이 블록버스터 뮤지컬의 클라이맥스를 연상시키는 화려하고 생명력 넘치는 반주가 그의 노래와 만나 ‘황금가면’이라는 가상의 히어로물 주제가로 탄생한 것이다.
이 곡의 가사 또한 김동률스러우면서도 김동률스럽지 않다. 기존 김동률 가사와는 다르게 그 시작점은 ‘황금가면’이라는 만화적 상상력이다.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 품어봤을 ‘영웅’이 되고 싶다는 엉뚱한 상상. 자칫 뻔한 얘기가 될 법도 한데, 어쩌면 그저 그런 유치한 이야기로 끝날 법도 한데, 잘 짜인 편곡의 흐름과 한 몸처럼 움직이는 가사의 구성은 단호하고 세련되게 이야기를 밀어붙인다. 그렇게 리듬과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나도 모르게 이 이야기 속 주인공이 내가 되어버린 듯 감정이 북받쳐 오른다. 낯설면서도 낯익은 소재에서도 김동률은 김동률답게 청자의 마음속 그 어딘가에 끝내 도달해 자신의 이야기를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만들어버린다. 우리는 늘 히어로가 와주길 기다리며 살고 있지만 어쩌면 지금 이 시대의 영웅은 바로 우리 자신이 아닐까, 각자가 각자의 영역에서 주인공으로 열심히 살아가는 세상이 결국 우리 모두가 꿈꿨던 세상은 아닐까. 노래는 이런 질문을 무심한 듯 툭 던져주고 사라진다.
신나지만 어딘가 울컥하고, 새롭지만 한편으론 반가운, 가장 김동률스러우면서도 김동률스럽지 않은, 그의 디스코그래피 역사상 가장 양가적 매력이 폭발하는 곡이 바로 ‘황금가면’이 아닐까.}}}

[ 앨범 크레딧 ]
{{{-1 Written by 김동률
Arranged by 황성제(ButterFly) 김동률 정수민(SSMusic)
Strings Arranged by 김동률 정수민
Horns Arranged by 황성제 정수민 조정현
Programming by 황성제 정수민
Drums 박은찬
Bass 최인성
Piano 나원주
Guitar 홍준호
Synth & Keyboards 황성제 정수민
Percussions 정동윤
Trumpet 조정현
Saxophone 김부민
Trombone 추명호
Background Vocal 김동률 황성제 정수민
Mix Engineer 오성근 for T Studio
Recording Engineer 오성근 for T Studio 이창선 for Prelude Studio
Assistant Engineer 주예찬 for T Studio 최은미 for Prelude Studio
Mastering Engineer 전훈 for Sonic Korea
Graphic art directed & designed by Ageha
Strategy & Public Relations Dept. 강태규 for Music Farm
Supervisor 임무섭 for Music Farm
Artist Management 조재민 배승진 김민영 박정란 김제연 최우진 for Music Farm
Executive Producer 이국현 for Music Farm }}}


{{{-1 MV starring 조우진
MV Director John S. Park}}}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에 올린 김동률의 근황 ]
{{{-1 오랜만입니다.
생존점을 기왕이면 음악으로 찍고 싶은 마음에 망설이고 미루다 보니 너무 늦어버렸네요. 그동안 무탈하게 잘 지내셨는지요.
사실 한동안은 이런 안부 인사를 올리는 것조차 망설여졌습니다. 세상이 동시에 멈춰버린 초유의 사태를 겪으며 전혀 아무렇지 않았을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되었겠습니까. 다들 각자의 자리에서 버티고 살아내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모두들 정말 수고 많았어요.
저에게도 역시 이 예상치 못했던 긴 휴식기는 마냥 재충전의 시간으로만 기억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크게는 이 세상을 살고 있는 인류의 한 사람으로서, 작게는 대한민국에서 대중음악을 하는 음악인으로서, 그동안 갖고 있던 인생관이나 음악관에 대한 전면 궤도 수정이 필요할 만큼, 눈을 뜨고 맞이하는 매일 매일이 한동안 너무도 낯설고 생경했습니다. 언제쯤 끝나려나 막막하기만 했었는데, 이제 그 긴 터널을 막 벗어나, 모든 것이 조금씩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정말 다행입니다.
새로운 음악이 늦어지게 된 이유는, 아마도 무엇을 노래해야 할지 잘 모르겠던 게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무엇을 노래해도 혹여 사치스럽게 느껴지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도 있었고, 팬데믹 시기의 음악이란 무엇일까를 생각할 때, 뮤지션으로서 의욕을 상실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맘을 내려놓고, 기왕 이렇게 된 거, 그냥 음악을 좋아하는 리스너로 돌아가 보자 맘먹게 되었습니다. 클래식부터 댄스음악까지 정말 많은 장르의 음악을 가리지 않고 들었네요. 그리고, 늘 시간이 부족하다는 핑계로 미뤄왔었지만 꼭 다시 해보고 싶었던 클래식 피아노 레슨도 받기 시작했습니다. 늘 하다 말다 하던 운동도 주기적으로 꾸준히 했습니다. 한 2년 정도는 이렇게 지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밤 산책을 하던 어느 날, 이제 슬슬 작업을 해볼까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황금가면’을 듣고 적잖이 놀란 분들이 꽤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발라드를 기대한 분들도 많았을 거구요. 하지만 저는 팬데믹의 끝을 이 노래로 닫을 수 있어서, 그리고 다시 새로운 시작을 열 수 있게 되어서 개인적으론 기쁘고 후련합니다. 이런 시기를 겪지 않았더라면 어쩌면 제가 이렇게 여러모로 과감한 시도를 할 순 없었을지도 모르겠네요. 이 곡을 작업하면서 스스로 많이 위로를 받았던 것 같습니다. 좋은 음악을 듣는 것도 행복했고, 하루 종일 피아노를 연습하는 것도 너무 좋았지만, 역시나 제가 가슴이 뛰는 순간은 음악을 만들 때구나 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지요. 이제 이 위로를 여러분들에게 돌려드리고 싶습니다.
이 한 곡을 위해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아낌없이 할애해 준, 이제는 한 팀 같은 공동 프로듀서 황성제, 정수민, 그리고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 주신 오성근, 전훈 기사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멋진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주신 존 박 감독님, 흔쾌히 일면식도 없던 저의 부탁을 수락해 주시고, 열연해 주신 조우진 배우님께도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오랫동안 기다려 주신,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들, 고맙습니다!}}}


[1] 대문자로 강조된 'YULE'은 크리스마스를 뜻하는 영어의 옛 고어라고 한다.[타이틀] [2] 대문자로 강조된 'YULE'은 크리스마스를 뜻하는 영어의 옛 고어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3:43:21에 나무위키 김동률/음반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